
🔹 목차 바로가기
1.개요 2. 지원 대상 3. 지원 내용 4. 신청 방법 5. 추가지원 6. FAQ 7. 활용 팁 8. 지자체 사례
자립수당이란?
자립수당은 보호 종료 후 홀로서기를 시작해야 하는 청년들에게 가장 먼저 도착하는 ‘안심 메시지’입니다. 부모의 지원 없이 사회에 첫 발을 디딘다는 것, 말처럼 쉽지 않죠. 경제적 뒷받침 없이 살아가는 20대 초반의 청년에게 매달 지급되는 이 수당은 단순한 돈이 아닌, ‘이제 너도 사회의 일원이다’라는 상징과도 같습니다.
지원 대상
지우(가명)는 19살이 되던 해, 10년 넘게 지냈던 공동생활가정을 떠나야 했습니다. 이후 자취방을 구하고 알바를 전전하며 생계를 이어갔지만, 생활비와 등록금 사이에서 숨이 막혔죠. 이처럼 만 18세가 되어 보호가 종료된 후 5년 이내인 청년이라면, 자립수당의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 보호종료 시점 기준 만 18세 이상
- 2년 이상 보호 이력 보유
- 보호종료 후 5년 이내 신청 가능
- 대한민국 국적 또는 영주권자
지원 내용
처음 자립수당을 받은 날, 지우는 매달 50만 원이라는 돈이 믿기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그 돈으로 생활비 일부를 충당하고, 부족한 등록금도 보탤 수 있었죠. 단순히 돈을 준다는 개념이 아니라, 매달 ‘넌 혼자가 아니야’라고 말해주는 느낌이 들었다고 해요.
- 월 50만 원씩 최대 60개월 지원
- 지자체별 자립정착금 별도 지급 (최대 1,200만 원)
- 재학 중이거나 취업 준비 중이어도 신청 가능
신청 방법
“복지센터에 처음 갔을 땐 긴장됐어요. 뭘 어떻게 말해야 할지도 몰랐고요. 그런데 직원 분이 너무 친절하게 하나하나 설명해주셨어요.”
- 방문 신청: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 온라인 신청: 복지로
- 보호 종료 30일 전부터 사전 신청 가능
추가지원 프로그램
자립수당 외에도 자립정착금, 주거지원, 진로설계와 멘토링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합니다. 한 청년은 이 프로그램 덕분에 정부지원으로 전세임대주택을 얻고, 온라인 강의를 들으며 진로를 구체화할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 자립정착금: 지자체 별도 운영
- 청년전세임대 연계
- 심리·진로상담, 직업훈련, 멘토링
자주 묻는 질문(FAQ)
Q. 일하면서도 받을 수 있나요?
A. 일정 소득 이상 초과하지 않으면 가능하며, 일해도 감액되지 않는 구조입니다.
Q. 대학 재학 중인 경우는요?
A. 가능합니다. 학생 신분도 자립 준비의 한 형태로 인정됩니다.
Q. 정착금은 따로 신청하나요?
A. 네, 지자체마다 별도 요건이 있으니 주소지 센터에 문의하세요.
활용 전략
수당을 받는다고 해서 무작정 쓰기보다, 목적을 설정하고 계획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 청년은 매달 10만 원씩은 무조건 저축했고, 20만 원은 취업 준비용으로, 나머지는 생활비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 비상금 계좌로 자동 저축 설정
- 취업 준비, 면접복장, 교통비 등 실용적 용도 활용
- 국비지원 교육과 연계 시 시너지 효과
지자체별 우수 사례
- 서울시: 자립지원관 운영, 월세 지원 프로그램 병행
- 경기도: 직업교육 연계 + 정착금 최고 1,200만 원
- 대구시: 자립청년학교 개설, 자조모임 운영